ETF 종류에 따른 세금을 알아보자(이것도 모른다고?)
반응형
ETF 종류에 따른 세금을 알아보자
이번 글은 투자를 함에 있어 꼭 알아둬야 할 ETF 투자 시 납부해야 할 세금(과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ETF는 주식처럼 매매하여 매매 차익을 얻거나 보유함에 따라 분배되는 분배금을 받기 때문에 세금 또한 반드시 납입해야 합니다.
투자 지역이나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ETF 세금(과세) 내용
ETF에 어떻게 세금이 부과(과세)되는지는 ETF의 투자 지역이나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데,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예시와 함께 내가 지금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할 예정인 ETF는 어디에 포함되는지 알아보세요!
1. 국내 상장된 ETF이면서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
- 국내 주식시장(코스피, 코스닥 등)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하는 ETF
- 매매 차익 비과세
- ex) TIGER KRX 2차전지 K-뉴딜 ETF
2. 국내 상장된 ETF이면서 주가지수 외의 것을 추종(채권, 해외지수, 파생형, 원자재 등)하는 ETF 상품
- 채권, 해외지수, 파생형, 원자재 등에 투자하는 ETF
- 매매 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율 적용 (단, 매매 차익과 과세가격 상승분 중 작은 금액으로 과세)
- ex) KODEX 미국FANG플러스(H) ETF
3. 해외 상장된 ETF 상품
- 해외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하는 ETF
- 매매 차익에 22% 양도소득세 부과
위의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모든 ETF 상품은 공통적으로 분배금에 대해 15.4%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 하고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수익에는 세금이 따르기 마련이고, 세금을 많이 낸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이 높다는 것입니다.
내가 투자하는 상품의 과세 내용을 아는 것도 중요하므로 ETF 투자 전 세금에 대한 내용도 꼼꼼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공항 대한항공 출발/도착 터미널 및 체크인 위치(출국 꿀팁) (0) | 2024.07.04 |
---|---|
한국판 SCHD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비교 (ACE,SOL,TIGER) (0) | 2024.06.17 |
영구임대주택 신청 절차와 입주자격 (0) | 2024.06.06 |
연금저축펀드 추천 하는 이유(IRP 차이점 및 장단점 비교) (0) | 2024.06.02 |
국내 상장 미국 S&P500 ETF 11종 비교: 수수료, 수익율 등 (0) | 2024.05.11 |
댓글